본문 바로가기
경제

2편.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계산하는 법. 쉽게 따라하는 종합과세 자가 진단 가이드

by redsnow 2025. 4. 25.
반응형

 

🔷 종합과세 기준이 2,000만 원? 그런데 그 기준은 어디까지?

많은 투자자들이 "내가 종합과세 대상일까?"라는 질문을 자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세금이 ‘실제로 받은 돈’ 기준이 아니라 ‘세전금액’ 기준이라는 점을 모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ETF·예금·배당소득까지 포함해 종합과세 대상인지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금융소득이란?

금융소득 = 이자소득 + 배당소득

 

     *이자소득 = 예금이자 + 적금이자 + 채권이자

     *배당소득 = 현금배당 + etf/펀드 분배금

포함됨 포함되지 않음
예금·적금 이자 주식배당
채권 이자 TR형 ETF 수익
현금배당 연금저축 계좌 내 수익 (특례 과세)
ETF/펀드 분배금 비과세 종합저축 수익 등

🔷 기준은 세전 2,000만 원 초과

  • 15.4% 원천징수 전 총액을 기준으로 합산해야 합니다.
  • 세후 기준이 아님에 주의!

✅ 예시

항목 세전 금액
예금이자 600만 원
현금배당 (삼성전자 등) 800만 원
ETF 분배금 (KODEX 고배당) 700만 원
총합 2,100만 원 → 종합과세 대상!

🔷 종합과세 시 실제로 납부할 세금은?

  • 종합과세 시 이자/배당 외 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세율(6~45%) 적용
  • 다만, 기납부된 15.4%는 선납세금으로 차감되므로 이중과세는 발생하지 않음

         * 최종 납부 세액 = 종합소득세액 - 원천징수세액

✅ 계산 예시

항목 금액
금융소득 총액 3,000만 원
원천징수세액 (15.4%) 462만 원
종합소득세율 (예: 24%) 720만 원
최종 납부세액 258만 원 (720 - 462)

💡 소득이 낮아 세율이 6%라면 오히려 환급도 가능합니다!


🔷 여러 계좌, 여러 증권사도 전부 합산

  • 같은 명의자라면 은행·증권사 상관없이 모든 금융소득을 합산
  • 부부, 가족 간 명의 분산은 개별 판단 (각자 2,000만 원 기준 적용)

🔷 직접 확인하세요, 종합과세 대상 여부

  • ETF 분배금까지 합산하는 걸 잊지 마세요.
  • 국세청 홈택스나 증권사 연간 거래내역을 바탕으로 세전 합계 2천만 원 초과 여부를 체크하세요.
  • 필요시 세무사 상담을 통해 누락 없이 신고하면 세금폭탄을 피할 수 있습니다.

 

1편. 배당소득,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일까?─ 현금배당과 주식배당, ETF 분배금 배당금 계산법

 

1편. 배당소득,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일까?─ 현금배당과 주식배당, ETF 분배금 배당금 계산법

🔷 배당 시즌, 세금도 함께 챙겨야 합니다배당 시즌이 되면 투자자들은 기대와 함께 세금 걱정도 하게 됩니다.특히 금융소득종합과세(금융종합과세)는 고소득 투자자에게 생각보다 큰 세금 부

penslab-3102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