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세관, 그 조용한 첫발자국(이름 없는 첫 여성 공무원의 이야기)
1908년, 서해 바닷바람이 거칠게 부는 군산항. 붉은 벽돌로 지어진 군산세관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부산 다음으로 두 번째로 세워진 근대식 세관 건물이었다. 곡창지대였던 호남의 쌀이 일본으로 실려 나가던 출발점. 세관은 이 흐름을 통제하고 감시하던 핵심 기관이었다. 당시는 남성 중심 사회였고, 공공기관은 말할 것도 없이 남자들의 영역이었다. 하지만 기록을 따라가다 보면, 1930년대 중반, 세관 내에 ‘속기, 정리, 보조 행정’을 담당하던 몇몇 여성의 이름이 아주 작게 등장한다. 그들은 주로 일본 이름을 부여받은 조선인 여성들이었고, 대부분 기록의 여백에 머물렀다.그 중의 한 명, 그녀의 본명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1936년자 공문서 한 귀퉁이에, “문서정리보조 1명 – 조선인 여(女), 속기 가능..
2025. 4. 6.